수도관에서 발생하는 누수음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3,000 Hz 미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X값은 3,000이 적정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Y값은 누수음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Amplitude로 표현합니다. 미세한 누수를 차트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5 정도의 강도가 적정합니다.

GIS 정보는 Shape 파일로 저희 ㈜위플랫 개발팀으로 보내주시면 서버에 업로드를 시켜 드립니다.

Shape 파일이 없는 경우 CAD 파일을 보내주시면 별도의 작업을 한 후 업로드도 가능합니다.

Active는 현재 사용 중인 시설물을 의미합니다.

Inactive는 시스템을 처음 등록했을 때의 상태로 관리자가 Active로 변경, 승인 작업을 거치기 전인 사용 대기 상태를 의미합니다

Unable은 폐기된 시설물을 의미합니다.

관로는 Size에 관경(mm)을 입력하시면 되고, Capacity는 정의된 게 없습니다.

수도미터는 Size에 구경(mm)을 입력하고, Capacity는 정의된 게 없습니다.

밸브는 Size에 구경을(mm)을 입력하고, Capacity는 정의된 게 없습니다.

한번 수집된 누수음을 기준으로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동일한 지점에서 3회 이상 누수음을 측정했을 때 동일한 누수음 주파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면 90% 이상 누수로 확신할 수 있습니다.

처음 누수음을 수집했을 때 계산되는 Strength(누수강도)값이 2번째 누수음을 확인한 결과 누수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을 때 Strenth_cal 수치를 바꿈으로써 지도 상에 누수와 비누수를 구분해서 표출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누수음 지도보기 화면에서 Strength와 Strength_cal 값을 전환해서 지도에 표출하는 기능을 이용해 실제 확인된 누수만을 지도에 표출할 수 있습니다.

누수가 발생하면 특정 주파수의 강도가 아주 높은 음파가 발생합니다.

이를 주파수 차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누수 주파수 패턴은 지형, 관종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누수음이 아닌 것과 누수음인 것의 주파수 패턴은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2,000 Hz 이상에서 강한 파형이 보이면 1m 이내의 누수로 판단하시면 되고, 1,000 Hz 이하에서 누수 파형이 보이면 5m 이상 먼 곳의 누수로 판단하면 됩니다.

그리고, 80% 이상의 누수는 수도미터, 밸브의 1m 이내 에서 발생하는 특성 등을 고려하면 누수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누수음 상세보기 화면의 누수음 테이블에서 테이블 상단의 화살표를 누수면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 합니다.

클라우드에서 동작하는 S/W이기에 전 세계 어느 곳이든 인터넷만 사용이 가능하면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는 NAVER 클라우드를 쓰고 있고, 해외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객이 다른 클라우드 사용을 희망하시면 변경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체 개별 서버에 저희 S/W 설치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버전 업그레이드 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주)위플랫 

본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60, 401호 402호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65, 3층 A2호

미주(US)센터 미국 매릴랜드 주 
TEL 042-934-7905 | E-mail wiplat@wiplat.com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21 wiplat All rights reserved.